제약에서 나오는 효율성
추가적인 선택지가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최대 효율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약이 필요하다.
예시
Apple이나 토스 제품들은 기능의 의도적인 제약으로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제품을 쓰도록 한다. (vs. 키움 영웅문 주식투자 제품: 너무 많은 기능들로 도배됨)
Zen of Python. 하나의 일을 하는 방법은 1개로 제한한다.
교환의 매개체인 돈은 1개 나라에서 1개 종류만 사용한다. 여러 돈이 통용되기 시작했다면 아주 혼란스러워졌을 것이다.
컨테이너선. 화물선에 적재되는 화물은 모두 컨테이너 단위로 통일된다. 이로써 조업시간을 줄이고 교환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private:Z20230220_1 How to read less)
- Read less: 읽는 시간을 줄이고 더 많은 내용들을 읽으려고 하면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