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적 프롬프팅
Prompt Engineering vs. Cognitive Prompting
Prompt Engineering | Cognitive Prompting | |
---|---|---|
질문 유형 | 공학적 | 인지적 |
기반 | 공학, 논리학 | 심리상담학, 자연주의 의사결정, 전문성, 심리언어학, 범죄수사학, 인지심리학, 정보학 |
사람에 비유하자면 | 똘똘한 주니어 | 특정 분야 전문가 |
활용 방식 | 명확한 가이드 | 전문가 인터뷰 |
결과 | 단편적 지식 | 심층적 지식 |
요구사항 | Low-level | Middle~High level |
언제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가?
- 네이버: 한국에서 생성된 정보
- 구글: 글로벌에서 생성된 정보
- 유튜브: 개인 및 기업의 실시간 영상 콘텐츠
- GPT: 글로벌 웹페이지, 특정 기간에 대한 추론
GPT란?
- 빈칸 맞추기식 + 정보 압축
- 문맥에는 Surprise가 없고, 항상 나올 법한 이야기가 나온다.
- 이렇게 학습되었음을 이용한다.
GPT 활용 방법
1. Chain of Thought
- GPT는 다음에 나올 내용을 “자연스럽게” 추측하는 것이 목적이다.
- 그래서 어려운 수학 문제와 같이 “Jump”가 있는 경우에는 잘 처리하지 못한다.
- Chain of Thought: 순서에 맞게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한다.
2. Tree of Thought (Intermediate steps)
- 복잡한 문제에 대해서 잘 작동함
-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쪼개서, 작은 문제를 각각 풀고, 다시 큰 문제로 합쳐서 풀어줘.
- 문제를 작게 풀었다가 크게 풀었다가 하면 잘 된다.
3. Social Interaction
- Please
- 이건 정말 나한테 중요해
- Take a deep breath and work on this
- 팁 $200 줄게
- 내 질문을 영어로 번역한 다음에 답변해 줘
4. Variance 넓히기
- “반대 사례는 없을까?”
- “너가 한번 유추해볼래?”
5. Thinking by analogy
- 조금 더 이해하기 쉽도록 비유를 사용해달라고 하기
- 정원 관리와 팀 프로젝트 관리를 비유
- 집 정리하기와 데이터베이스 정리를 비유
- 운동 계획 세우기와 업무 목표 설정을 비유
6. Expert of Expert
- (내 문제를 먼저 설명한 뒤) 너는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동한다고 들었어.
- 지금 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종류의 전문가들이 있어야 할 것 같아?
- 그 각각의 전문가들에게 내 문제를 다시 각각의 전문가 분야에 맞는 질문으로 고쳐서 질문해 줘.
- 그리고 그 전문가의 답변을 작성해 줘.
- 답변을 작성할 때는 그 해당 분야에서만 쓰는 용어나 약어 등을 포함해서 작성해 줘.
7. Copy & Paste Snapshot
- GPT는 기억에 한계가 존재함.
- “지금까지 우리가 나왔던 대화를 짧게 요약한 다음에 앞으로 나눌 대화에 복사해서 붙여넣어 줘.”
- 이렇게 하면 ChatGPT의 짧은 맥락을 극복하면서, 우리가 같은 맥락을 가지고 계속 대화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듦.
8. Daily Coach
- 특정 분야에서 내가 잘하고 싶은 것을 지속적으로 도와주는 코치 만들기.
- 당신은 XX 분야에서 유명한 코치라고 들었어요. 요즘 그 분야에서 XX 전문성을 높이고 싶은데 잘 안 되네요. 제가 앞으로 어떤 것을 시도했고, 어떤 부분이 잘 안 되는지 아래 포맷으로 알려 드릴게요. 그러면 당신은 제 진행상황은 어떤지, 장애물은 무엇인지, 다음 액션 아이템은 무엇일지, 그리고 가능하면 동기부여가 될만한 피드백을 해주세요. 단순히 그날 하루의 행동을 보고 피드백하기보다는, 전체 히스토리를 보고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 주세요.
- 포맷: Y년 M월 D일. 행동: 이런걸 해봤다. 결과: 이렇게 되었다.
- 전문적인 코칭 방법을 써서 저를 동기부여하고 가이드해 주세요. 그리고 구체적이고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액션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전체의 과정에서 제가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꼭 기억해 주세요.
9. 스스로 반복적으로 개선시키기
- 너는 이 글을 5번 개선시킬 거야. 순서대로 버저닝해서 개선되는 걸 보여줘.
- 마지막 버전을 보고 핵심(essence)만 참고해서, 최종 6번째를 처음부터 만들어 줘.
10. 메타인지 높이기
- 너가 한 답변이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없을지 찾아봐 줘.
- 경우에 따라서는 A가 적용되지 않거나 모호한 경우도 있을 것 같아. 어떤 경우에 그럴 수 있을지 고민해 줘.
- 너가 제시한 X들을 10점 만점으로 스코어를 매긴다면 어떻게 매길 수 있을까? 스코어를 매기는 기준들은 어떤 것이 있을지 제시해 줘.
- 최근 X한 상황을 떠올려봐 줘. 그리고 그때 너는 전문가로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기억해 봐.
11. STICC 사용하기
- 상황 (Situation): 현재 상황
- 저는 미국에서 한국 앱 서비스를 출시하려고 하는데, 미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요.
- 과제 (Task): 필요한 것
- 앱 텍스트를 번역하는 데에 도움이 필요해요.
- 의도 (Intent): 명확한 목표
- 이 서비스가 지금 2~30대 미국 여성에게 성공할 수 있을지 빠르게 평가하고 싶어요.
- 우려 (Concern): 걱정되는 것
- 번역된 영어 단어가 너무 길어서 앱 UI를 망칠까봐 걱정돼요.
- 조정 (Calibration): 요청을 세밀하게 조정
- 번역된 영어 단어가 원래 한국어 단어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해주세요.
- 미국인들이 흔히 사용하는 속어나 약어를 자유롭게 사용해 주세요.
12. Scharff Technique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의 수사관인 Hanns Scharff에 의해 개발된 심문 기법
- 친절하게 한다. (Friendly approach)
- 정보를 얻으려고 압박하지 않는다.
- 이미 다 알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13. 시각화
시각화를 요청할 떄는 mermaid, graphviz, matplotlib 등으로 스크립트로 generate 해달라고 하면 쉽게 시각화가 됩니다.
14. 프롬프트를 개선하는 프롬프트
- 다음은 내 프롬프트인데, ChatGPT (GPT-4) 에서 더 효과적으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내 프롬프트를 개선하고 싶어. 다음 기준으로 내 프롬프트의 개선 사항을 알려줘.
- 더 구체화하거나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 더 적합한 답변을 위해서 프롬프트의 질문 범위를 좁힐 필요가 있는지
- 적합한 응답을 위해서 GPT 응답의 포매팅에 대한 추천
- 내 프롬프트의 질문과 연관된 전문가들이 누가 있을지 나열해 줘. 그 전문가들 입장에서 어떻게 내 프롬프트를 개선할지 알려 줘. 그리고 그 전문가들끼리 프롬프트 개선을 위해서 상호작용하도록 해줘
- 위 분석과 개선 사항을 토대로 내 프롬프트의 개선된 버전을 다시 작성해 줘.
15. SQ3R
SQ3R은 5단계로 이루어진 독서 이해 전략. 프롬프트에 적용할 수 있다.
(문제를 설명한 다음) SQ3R 기법을 활용해서 답변을 만들어 줘.
Survey (조사하기)
- 책을 읽기 전에 목차나 주요 내용을 훑어보는 것과 비슷.
- “내 문제의 전체 내용을 빠르게 훑어서 읽어 줘. 이 단계에서는 주요 내용과 구조를 파악해 줘.”
Question (질문하기)
- 훑어본 내용을 바탕으로 궁금한 점이나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질문을 만든다.
- “문제의 각 세부 사항들을 보면서 궁금한 점이나 중요한 질문을 만들어 줘”
Read (읽기)
- “이제 본격적으로 문제를 꼼꼼히 다시 읽어보면서, 앞서 만든 질문에 답을 찾아 줘. 이 단계에서는 중요한 질문에 주목하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다시 읽으면서 내용을 깊이 있게 파악해 줘.”
Recite (되새기기, 복기하기)
- 읽은 내용을 내 언어로 요약하고 다시 설명하면서 이해도를 높인다.
- “읽은 내용을 스스로에게 다시 설명하고 요약해봐.”
Review (복습하기)
- 답변 전체를 다시 한 번 검토하고, 부족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질문.
- “개념과 세부사항을 다시 한번 확인해봐.”
16. 맞춤형 챗봇 GPTs 활용
- 역할을 부여한 GPTs 만들기 (페르소나 씌우기)
- “너는 삼국지 전문가야. 3학년 학생이 삼국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줘”
- 특정 지식이나 데이터를 GPTs에 학습시키기
- 특정 회사의 제품 매뉴얼을 학습시킨 GPTs 만들기
- 나만의 개인화된 인공지능 비서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