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jin Park

좋은 회고의 조건

1. 긍정적 감정

  • 회고 시 긍정적 감정 표현이 많을수록 효과적임.
  • 부정적 감정 단어가 아예 없으면 효과 감소.
  • 낙관적으로 회고하되 부정적 사건 인정 필요.
  • ‘좋은 게 좋은 거지’ 식의 태도는 회고 효과 저하.

2. 이야기의 구성

  • ‘생각하다’, ‘깨닫다’, ‘왜냐하면’ 등 인지적 차원 단어 중요.
  • 회고 후반에 인지적 단어 빈도 증가가 효과 예측.
  • 이는 의미를 찾고 정합적인 스토리 구성을 의미.
  • 처음부터 완성된 이야기보다 과정 중 새로운 이야기 생성이 중요.
  • 동일 사건에 대한 반복적인 이야기는 회고 효과 미미.
  • 회고를 통해 동일 사건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 창출 필요.

3. 시각 변화

  • 자신을 나타내는 대명사 사용과 다른 대명사 사용의 전환 반복이 유익.
  • 시각의 전환이 중요함.
  • 자신의 입장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서 사건을 보는 능력 필요.
  • 상담 및 범죄 심리학에서도 시각 전환의 중요성 강조됨.
  • 증인 심문 시 시각 전환은 기억력 향상 및 오류 감소와 관련됨.